• Home
  • About
    • Goeun Kim photo

      Goeun Kim

      deep learning, python, c++, etc.

    • Learn More
    • Email
    • Github
    • Youtube
  • Posts
    • All Posts
    • All Tags

MAC 주소

05 Apr 2022

Reading time ~1 minute

이번 포스트에서는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모든 장비들이 통신하기 위한 물리적 주소인 MAC 주소에 대해 알아본다.

MAC(Media Access Control) 주소란?

  • 2계층(Data Link Layer)에서 통신을 위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할당된 고유 식별자
  • 이더넷과 와이파이를 포함한 대부분의 IEEE 802 네트워크 기술에서 2계층 주소로 사용됨
    • IEEE: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. 전기전자공학자협회. 각종 인터넷 관련 표준을 만든 국제 기구
  •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모든 장비는 MAC 주소라는 물리적인 주소가 있어야하고 이 주소를 이용해 서로 통신

MAC 주소 체계

MAC 주소는 변경할 수 없도록 하드웨어에 고정되어 출하되므로 네트워크 구성 요소마다 다른 주소를 가지고 있다. MAC 주소는 48비트의 16진수 12자리로 표현된다. 48비트의 MAC 주소는 다시 다음과 같이 앞의 24비트와 뒤의 24비트로 나누어 구분한다.

  • OUI: IEEE가 제조사에 할당하는 부분. MAC 주소로 제조업체를 찾을 수 있다.(구글 or IEEE 홈페이지)
  • UAA: 각 제조사에서 네트워크 구성 요소에 할당하는 부분.

MAC 주소 동작

  1. 먼저 NIC(Network Interface Card)가 자신만의 MAC 주소를 가지고 있는데, 전기 신호가 들어오면 2계층에서 데이터 형태(패킷)로 변환하여 내용을 구분한 후 도착지 MAC 주소를 확인한다.
  2. 도착지 MAC 주소가 자신의 MAC 주소와 다르면 그 패킷을 폐기한다.
  3. 패킷의 목적지 주소가 자기 자신이거나 브로드캐스트, 멀티캐스트와 같은 그룹 주소이면 처리해야 할 주소로 인지해 패킷 정보를 상위 계층으로 넘겨준다.

ref
IT 엔지니어를 위한 네트워크 입문(고재성, 이상훈 지음)을 읽고 정리한 포스트입니다.


Previous

‘[Network] 네트워크 통신하기’ -> Previous

Next

‘[Network] IP 주소’ -> Next



NETWORK Share Tweet +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