• Home
  • About
    • Goeun Kim photo

      Goeun Kim

      deep learning, python, c++, etc.

    • Learn More
    • Email
    • Github
    • Youtube
  • Posts
    • All Posts
    • All Tags

네트워크 통신하기

05 Apr 2022

Reading time ~1 minute

이번 포스트에서는 네트워크 통신 과정에서 필요한 주소인 MAC 주소, IP 주소에 대해 다룬다. 주소 체계를 이루는 서브넷, 게이트웨이와 같은 용어와 ARP와 같은 프로토콜의 기능과 역할에 대해서도 알아본다.

유니캐스트

  • 1:1 통신
  • 출발지와 목적지가 1:1로 통신
  • 실제로 사용하는 대부분의 통신은 유니캐스트 방식을 사용

브로드캐스트

  • 1:N통신
  • 동일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모든 호스트가 목적지
  • 유니캐스트로 통신하기 전, 주로 상대방의 정확한 위치를 알기 위해 사용
  • 기본 동작은 로컬 네트워크 내에서 모든 호스트에 패킷을 전달해야 할 때 사용

멀티캐스트

  • 1:N(멀티캐스트 구독 호스트)통신
  • 하나의 출발지에서 다수의 특정 목적지로 데이터 전송
  • IPTV와 같은 실시간 방송을 볼 때 이 멀티캐스트 통신 방식을 사용
  • 사내 방송이나 증권 시세 전송과 같이 단방향으로 다수에게 동시에 같은 내용은 전달해야 할 때 사용

애니캐스트

  • 1:1 통신(목적지는 동일 그룹 내의 1개 호스트)
    • 다수의 동일 그룹 중 가장 가까운 호스트에서 응답
  • IPv4에서는 일부 기능 구현, IPv6은 모두 구현 가능
  • 애니캐스트 게이트웨이의 성질을 이용해 가장 가까운 DNS서버를 찾을 떄 사용
  • 가장 가까운 게이트웨이를 찾는 애니캐스트 게이트웨이 기능에 사용
  • 유니캐스트와의 차이
    • 최종 통신은 1:1로 유니캐스트와 동일하지만 통신 대상 후보자는 서로 다름
    • 유니캐스트는 출발지와 목적지가 모두 한 대씩임
    • 애니캐스트는 같은 목적지 주소를 가진 서버가 여러 대여서 통신 가능한 다수의 후보군이 있음

ref
IT 엔지니어를 위한 네트워크 입문(고재성, 이상훈 지음)을 읽고 정리한 포스트입니다.


Previous

‘[Network] 네트워크 구성 요소’ -> Previous

Next

‘[Network] MAC 주소’ -> Next



NETWORK Share Tweet +1